2023.06.15~2025.12.31 이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추가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을까요...?아니면 이거 가입했다고 다른 청년계좌 가입에 불이익이 생기는 일이 있을지 궁금합니다또한 어떻게 가입하면 더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 추천 부탁드립니다

안녕하세요~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과 다른 청년계좌와의 관계가 궁금하시군요. 저도 주변에서 많이 물어보셔서 정리해드립니다.

1. 청년도약계좌 운영 기간 (2023.6.15~2025.12.31)

• 현재 정부가 명시한 건 한시 사업입니다.

• 종료일이 2025년 12월 31일로 되어 있지만, 청년희망적금·청년희망적금Ⅱ처럼 정책 성과에 따라 연장·개편 가능성은 있습니다.

• 다만 확정된 건 없으므로, 2025년 말까지만 신규가입 가능하다고 보는 게 안전합니다.

2. 다른 청년계좌와의 관계

• 청년도약계좌 가입했다고 해서 다른 청년 정책상품(예: 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등)에 불이익은 없습니다.

• 단, 중복가입이 제한되는 건 동일한 성격의 지원금 상품입니다. (예: 청년희망적금과 동시 가입 불가)

• 이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셨다면, 다른 청년형 적금·청약통장·자산형성지원사업은 병행 가능합니다.

3. 어떻게 가입하면 더 이익일까?

1. 소득공제 혜택

• 청년도약계좌는 원리금 비과세 + 정부 기여금이 핵심인데, 은행에서 안내하는 개인형 IRP·연금저축과 병행하면 소득공제 혜택을 추가로 누릴 수 있습니다.

2. 금리 비교

• 은행마다 기본금리+우대금리가 다릅니다. 급여이체, 체크카드 사용, 자동이체 등으로 우대조건을 맞추면 최대 금리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
3. 소득구간 확인

• 정부 지원금은 소득구간별로 차등 지급되므로, 가입 전에 본인 소득인정액을 확인해 두시면 예상 지원액을 알 수 있습니다.

•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(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)까지 가능하지만, 낮을수록 정부 지원금이 더 커집니다.

정리

•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12월 말까지 가입 가능 (연장 가능성은 있으나 미확정)

• 다른 청년 계좌와 병행 가능, 불이익 없음

• 최대 이익을 보려면 은행별 우대금리 챙기고, 소득구간 확인 후 정부기여금 최대한 받는 게 포인트